저는 그렙(프로그래머스)에서 리모트 근무를 시작하면서 처음으로 디지털 노마드로서의 삶을 시작했습니다. 사실 코로나 이전, 약 2년간은 신논현까지 출퇴근을 해야했고 하루에 적어도 2시간 이상을 길에서 시간을 써야만했습니다. 그러다 코로나가 터지면서 회사에 재택근무가 도입되기 시작하면서 어쩌다 보니 강제 디지털 노마드의 삶?을 살게되었습니다.
유튜브나 해외 IT 블로그에서나 봤었던 디지털 노마드로서의 삶을 시작할 때는 ‘이런 세상도 있구나’, ‘이렇게 살 수도 있구나’ 하는 놀라움이 컸습니다. 왜냐하면 저랑은 관계없는 라이프 스타일이라고 생각했었기 때문이었던거 같습니다.
리모트 워크 (디지털 노마드)의 장점
출퇴근이 없다.
유연 근무제를 하고 있었지만 그래도 무시할 수 없었던 러시아워의 스트래스가 한방에 날아갔습니다.평일 퇴근 후 시간이 생긴다.
출퇴근 시간이 없어지면서, 코어 타임만 지키고 퇴근을 하면 하루에 2시간 정도는 그냥 더 생기는 느낌입니다.
자기계발, 운동 등 평소에는 생각하지도 못했던 것들을 할 수 있었습니다.어디서든 일할 수 있다.
제주도/강릉 등에 놀러가서 근무할 때도 많았고, 때로는 주변 예쁜 카페에 가서 일하기도 했습니다.
일을 열심히 하지만 이래도 되나 싶을 정도로 자유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리모트 워크 (디지털 노마드)의 단점
어느 정도 업무에 적응하고 나자 디지털 노마드로서의 힘든 점도 알게 되었습니다.
온전히 스스로 제어해야 한다.
매일 게으른 자신과 싸워야 합니다. 리모트 워크 환경에서는 코어 타임이 있긴 하지만 그래도 시간을 유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스스로 스케쥴, 집중력을 관리하며 일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퇴근 없이 밤까지 일하게 되고, 하루의 루틴이 망가지게 됩니다.생각보다 훨씬 외롭다. 첫 1년은 거의 집안에서만 일했는데 언제부터인가 방안에서 혼자 일하는게 너무 힘들었습니다. 줌을 통해 커뮤니케이션하긴 하지만 팀원과 직접 만나지 않기 때문에 팀원들과 연대감/소속감을 느끼기가 너무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자발적으로 주 2~3회 사무실로 출근을 하며 일을 하게 되었습니다.
어디서든 자유롭게 일할 수 있지만 막상 그렇지도 않다.
위에서 어디서든 일할 수 있다고 말해놓고 무슨 소리냐 할 수 있지만 예쁜 카페도 2~3시간 앉아 있으면 집중이 어려웠고 그렇게 선망하던 워케이션도 몇번 다녀오니 생각보다 ‘조용하고 인터넷이 잘되는 곳’ 찾기도 힘들었습니다.
디지털 노마드로서의 자기 관리
리모트 근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 제가 시도한 방법입니다.
일상 루틴 만들기
하루는 일정이 밀려서 밤 늦게까지 일을 했는데 이렇게 하루 루틴이 망가지니까 다음 날 일어나기도 힘들었습니다. 그렇게 한번 집중력이 떨어지니까 계속밤늦게까지 하지 않아도 되는 야근을 했습니다. 그러다 루틴을 지키기 위한 방법으로 점심시간에 자전거를 타기 시작했습니다. 코로나 기간에 찐 살도 빠지고 기분 전환도 돼서 루틴을 지키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꼭 운동이 아니더라도 정해진 시간에 규칙적으로 무언가를 하는 루틴을 만들어보세요.팀원과의 줌 미팅
처음 리모트 워크 시작할때 줌 미팅 여는게 왜이렇게 부담스럽게 느껴졌는지 모르겠었습니다. 적응하기가 어려웠던 시기에 한참을 고민하다가 팀원들에게 솔직하게 얘기했습니다. 그러자 팀원 모두 초반에는 리모트 워크에 적응하기 어려운점이 있다고 말해주었습니다. 그래서 꼭 업무적인 용건이 없더라도 필요하면 줌으로 커피챗을 하자고 이야기했고 각자 힘든 상황을 솔직하게 얘기하고 도움을 받아볼 수 있었습니다. ‘왜 집중이 안 되지?’라고 혼자서 고민하는 것보다, 잠깐 일을 내려두고 팀원과 잡담하는게 생각보다 큰 힘이 되었습니다.
디지털 노마드의 멋진 모습만 기대하고 근무 환경을 바꾸는 것은 장점 그 이상의 어려운 점이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수 많은 힘든 점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노마드의 장점은 너무너무 매력적입니다. 여건이 되시면 다른 디자이너분들도 꼭 한번 디지털 노마드의 삶을 살아보셨으면 좋겠습니다!